<p></p><br /><br />요즘 국도변에는 문 닫은 주유소가 많습니다. <br> <br>새 고속도로가 뚫리고 전기차나 수소차가 늘어나는 영향입니다. <br> <br>방치된 주유소가 주민들의 골칫거리가 되고 있다는데, 현장카메라 정다은 기자가 가봤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"전국 곳곳에 휴업 등의 이유로, 수년째 방치된 주유소들이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.<br><br>어떤 상태일지, 현장으로 갑니다.”<br> <br>주유 설비는 거미줄로 뒤덮여 있고, 주유기는 묶여 있습니다. <br> <br>카드계산기엔 먼지가 쌓여 있습니다. <br> <br>이 주유소는, 지난 2018년 휴업 신고를 했는데, 3년 째 방치돼 있는 겁니다. <br> <br>[인근 주민] <br>"사람이 없으니까 보기 싫죠. 냄새도 나고, 불 날까봐 걱정도 되고" <br> <br>이 주유소가 위치한 국도 6km 정도의 구간 가운데, 이렇게 운영이 중단된 주유소들이 3곳이나 됩니다. <br><br>문을 닫은 주유소 주유 설비 앞에서 옷을 팔거나, 중국집 간판이 걸려 있기도 합니다. <br> <br>"이렇게 방치된 주유소에 안전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소방서 안내문도 붙어있습니다."<br> <br>장사를 안하더라도 기름 저장 시설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라면,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고, 지하로 기름이 유출될 경우 토양이나 지하수 오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그런 점을 감안해, 아예 폐업을 하려고 해도, 시설을 들어내고 토지 정화 작업 등을 하는데 1억 넘는 돈이 든다고 합니다. <br> <br>[박동위 / 한국주유소협회 차장] <br>"폐업 비용이 최소 1억 5천 만원 정도로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거든요. 망해서 문을 닫고 싶어도 비용이 부담이 돼서 문을 닫을 수 없는 상황인 거죠.” <br> <br>그러다 보니, 업주들은 돈이 드는 폐업대신, 휴업 신고만 한채 기약없이 방치하고 있는 것입니다. <br> <br>관련 전문가들은, 지난 한해 휴업을 신고한 주유소는 510 여곳이나 되는데, 그중 상당수도 이런 모습이 될 것이라고 경고합니다. <br> <br>휴업뿐만 아니라, 폐업 신고를 한 주유소도 골칫거립니다. <br> <br>"이곳은 10년 전 문을 닫은 주유소인데요. <br> <br>주유 설비는 물론 사무실 집기도 녹슨 채 방치돼있습니다.”<br> <br>[인근 주민] <br>“(문 닫은 지) 오래됐죠. 보기 싫어요 저거. 소방서에서 나와서 이렇게 하면 안 된다고 그런 모양이에요.“ <br> <br>주유소 부지 곳곳에 생활 쓰레기도 쌓여있습니다. <br> <br>[주유소 관계자] <br>"아예 운영이 잘 안되니까 임대도 안주고. 임대료가 안나오니까 야반도주하니까. 그냥 문 닫고 창고로…." <br> <br>이렇게 휴업 또는 폐업한 주유소가 동네 흉물로 변하고 있지만, 지자체는 손을 쓰기가 어렵습니다. <br> <br>[지자체 관계자] <br>"(방치 주유소 관련) 아직까지 해결방안이 구체적으로 나와 있는 부분이 없어요. (폐업 비용 등) 지원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된 건 없어요.” <br> <br>앞으로 전기차 수소차 증가나, 고속도로 신설로 국도변 주유소들의 경영난은 더욱 가중될 전망입니다. <br> <br>[김재경 / 에너지경제연구원 박사] <br>"전기차, 수소차가 늘어나면 주유소 입장에선 시장이 줄어드는 거잖아요. 지금 주유소의 74% 정도 퇴출돼야 주유소들이 생존할 수 있는….” <br> <br>흉가같은 '유령 주유소'들이 늘어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대한, 대책이 필요합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정다은입니다. <br><br>PD : 김남준 김종윤<br /><br /><br />정다은 기자 dec@donga.com